About
2025
2024
2023
2022
2021
2020
2019
2018
정독도서관 노벨문학상 라운지
쿄베이커리 방배
슬로 가산디지털단지
슬로 칠보하우스
슬로 배곧
슬로 은계
메종 드 테라스
이촌동 주택
슬로 원베일리
서울대 첨단융합학부 라운지
슬로 장현
ⓒ2014 - 2025 f_actory lab. All right reserved.
Library
Aesthetic
Cafe
Aesthetic
Cafe
House
Cafe
Memorial
Aesthetic
Restaurant / Retail
Cafe
Aesthetic
Cafe
Library
Public
Aesthetic
Cafe
Cafe / Restaurant
Cafe / Restaurant
Cafe
House
Cafe
Library
Public
Cafe / Restaurant
Cafe
Aesthetic
Cafe / Retail / Restaurant
Cafe / Retail / Restaurant
Cafe / Retail / Restaurant
Library
Library
Office
Public
Cafe
Cafe
Aesthetic
House
Aesthetic
Cafe
Cafe
Cafe, Pub
Cafe
Cafe
Office
Cafe
Aesthetic
Cafe
Office
Educational
Restaurant
Cafe
Educational
Cafe
Cafe
Cafe
Office
Cafe
Cafe
Cafe
Cafe
Restaurant
Educational
Pub
JEONGDOK LIBRARY NOBEL LOUGNE, 2025
정독도서관 노벨문학상 라운지
Work : Layout, Design
Location : Jongno_gu
Usage : Library, Lounge
Area : 120m² / 2-1F

2024년 가을, 한강 작가가 한국인 최초로 노벨문학상을 수상했다는 소식이 전해지자, 전국은 환호로 들썩였습니다.
서점의 서가가 흔들리듯 붐볐고, 사람들은 한 권의 책이 지닌 힘을 다시금 떠올렸습니다.
문학의 울림이 한순간에 전 세계의 시선을 한국으로 이끌어낸 것입니다.
그 여파는 서울 도서관의 상징, 정독도서관에도 닿았습니다. 한국 최초의 노벨문학상 수상을 기념하고,
120년 역사를 지닌 노벨문학상의 정신을 기리는 라운지를 설계해 달라는 특별한 요청으로 우린 시작했습니다.
라운지 설계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세 가지 개념입니다.
시간초월. 한 세기를 넘어선 노벨문학상의 궤적과 역대 수상작들을 통해 문학의 발전과 변화를 체험하게 하며, 시간의 흐름 자체가 서사가 되는 공간을 만듭니다.
연결. 문학은 인간의 삶을 비추는 거울입니다. 이곳에서 독자와 작가가 작품 속에서 만나고, 공감하며, 몰입할 수 있는 경험을 제공합니다. 독자들께서 작가의 삶과 숨결을 느끼며 자신만의 영감을 발견하실 수 있도록 이끕니다.
헤리티지. 노벨문학상이 지닌 권위와 명예, 그리고 문화유산으로서의 가치를 보존하면서도 현대적 기술을 통해 이를 재해석하고, 미래 세대와 소통할 수 있는 무게감 있는 공간을 구현합니다.

이러한 개념은 실제 공간 구성으로 이어지며,
라운지는 세 개의 존으로 나뉘어 각기 다른 방식으로 이 세 가지 가치를 담습니다.
[Nobel Archive] : 노벨 문학상의 역사와 수상자들을 기념하며 관련 자료를 열람할 수 있는 공간
[K-Lit, Studio] : 한강 작가를 비롯한 한국 문학을 전시하고 경험할 수 있는 공간
[Talk Coner, Hans-on Table & Reding Nook] : 저자 강연, 북토크, 문학 창작교실, 자료열람등 다양한 프로그램이 펼쳐지는 참여형 공간
그리고 이러한 공간적 구체화는 단순히 기능적 분할에 그치지 않습니다. 스톡홀름 도서관의 서늘하면서도 숭고한 공기를 빌려와, 라운지 전체가 문학의 역사성과 미래적 상상력이 교차하는 무대를 연출합니다. 정독도서관의 노벨문학상 라운지는 단순한 기념 공간을 넘어, 살아 움직이는 서사의 장이 되길 바랍니다.

Nobel Archive & Open Library

Hans-on Table & Reding chair

k-lit. Studio & Reading Nook
■
JEONGDOK LIBRARY NOBEL LOUGNE, 2025
정독도서관 노벨문학상 라운지
Work : Layout, Design
Location : Jongno_gu
Usage : Library, Lounge
Area : 120m² / 2-1F

2024년 가을, 한강 작가가 한국인 최초로 노벨문학상을 수상했다는 소식이 전해지자, 전국은 환호로 들썩였습니다.
서점의 서가가 흔들리듯 붐볐고, 사람들은 한 권의 책이 지닌 힘을 다시금 떠올렸습니다.
문학의 울림이 한순간에 전 세계의 시선을 한국으로 이끌어낸 것입니다.
그 여파는 서울 도서관의 상징, 정독도서관에도 닿았습니다. 한국 최초의 노벨문학상 수상을 기념하고,
120년 역사를 지닌 노벨문학상의 정신을 기리는 라운지를 설계해 달라는 특별한 요청으로 우린 시작했습니다.
라운지 설계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세 가지 개념입니다.
시간초월. 한 세기를 넘어선 노벨문학상의 궤적과 역대 수상작들을 통해 문학의 발전과 변화를 체험하게 하며, 시간의 흐름 자체가 서사가 되는 공간을 만듭니다.
연결. 문학은 인간의 삶을 비추는 거울입니다. 이곳에서 독자와 작가가 작품 속에서 만나고, 공감하며, 몰입할 수 있는 경험을 제공합니다. 독자들께서 작가의 삶과 숨결을 느끼며 자신만의 영감을 발견하실 수 있도록 이끕니다.
헤리티지. 노벨문학상이 지닌 권위와 명예, 그리고 문화유산으로서의 가치를 보존하면서도 현대적 기술을 통해 이를 재해석하고, 미래 세대와 소통할 수 있는 무게감 있는 공간을 구현합니다.

이러한 개념은 실제 공간 구성으로 이어지며,
라운지는 세 개의 존으로 나뉘어 각기 다른 방식으로 이 세 가지 가치를 담습니다.
[Nobel Archive] : 노벨 문학상의 역사와 수상자들을 기념하며 관련 자료를 열람할 수 있는 공간
[K-Lit, Studio] : 한강 작가를 비롯한 한국 문학을 전시하고 경험할 수 있는 공간
[Talk Coner, Hans-on Table & Reding Nook] : 저자 강연, 북토크, 문학 창작교실, 자료열람등 다양한 프로그램이 펼쳐지는 참여형 공간
그리고 이러한 공간적 구체화는 단순히 기능적 분할에 그치지 않습니다. 스톡홀름 도서관의 서늘하면서도 숭고한 공기를 빌려와, 라운지 전체가 문학의 역사성과 미래적 상상력이 교차하는 무대를 연출합니다. 정독도서관의 노벨문학상 라운지는 단순한 기념 공간을 넘어, 살아 움직이는 서사의 장이 되길 바랍니다.

Nobel Archive & Open Library

Hans-on Table & Reding chair

k-lit. Studio & Reading Nook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