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2025
2024
2023
2022
2021
2020
2019
2018
정독도서관 노벨문학상 라운지
쿄베이커리 방배
슬로 가산디지털단지
슬로 칠보하우스
슬로 배곧
슬로 은계
메종 드 테라스
이촌동 주택
슬로 원베일리
서울대 첨단융합학부 라운지
슬로 장현
ⓒ2014 - 2025 f_actory lab. All right reserved.
Library
Aesthetic
Cafe
Aesthetic
Cafe
House
Cafe
Memorial
Aesthetic
Restaurant / Retail
Cafe
Aesthetic
Cafe
Library
Public
Aesthetic
Cafe
Cafe / Restaurant
Cafe / Restaurant
Cafe
House
Cafe
Library
Public
Cafe / Restaurant
Cafe
Aesthetic
Cafe / Retail / Restaurant
Cafe / Retail / Restaurant
Cafe / Retail / Restaurant
Library
Library
Office
Public
Cafe
Cafe
Aesthetic
House
Aesthetic
Cafe
Cafe
Cafe, Pub
Cafe
Cafe
Office
Cafe
Aesthetic
Cafe
Office
Educational
Restaurant
Cafe
Educational
Cafe
Cafe
Cafe
Office
Cafe
Cafe
Cafe
Cafe
Restaurant
Educational
Pub
SNU Dental Library, 2024
서울대 치의학과 도서관
Work : Layout, Design
Location : Seoul Jongno-gu
Usage : Library
Area : 415m²
서울대 치의학도서관은 방대한 양의 치의학 관련 전문 서적과 자료를 보유하고 있지만,
오래된 시설과 다소 차갑고 무거운 분위기 때문에 열람실 외의 공간은 학생들의 활용도가 낮았습니다.
이번 프로젝트는 다양한 사람들의 이용도를 높이기 위해 도서관을 단순히 ‘자료를 찾는 곳’이 아닌, 머물고 싶은 공간으로 만드는 데 초점을 두고 진행했습니다.

기본 설계 당시, 넓게 펼쳐진 공간의 흐름을 해치지 않으면서 효율적으로 분리할 수 있는 방법을 스터디하다가,
도서관 중앙에 단 차이를 두고 미팅룸을 배치하여, 자연스럽게 공간과 동선을 분리하고 각 공간마다 서로 다른 분위기를 느낄 수 있게 하면 좋겠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또, 기존 사무실이나 서버실 같은 기능적인 공간은 축소하고, 방문객을 위한 공간들을 확대하는 방향으로 진행했습니다.

사람들의 다양한 활동과 행위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가구 및 소품을 자유롭게 배치하여,
한 공간 안에서 학습, 강연, 토론, 휴식 등의 장면이 연출될 수 있도록 설계하고자 했습니다.



보다 친근하게 다가올 수 있도록 도서관의 전체적인 분위기는 따뜻한 소재와 밝은 우드 톤의 인테리어를 적용하였고,
단순히 통행을 위한 공간에 가까웠던 기존의 로비를, 잠시 머물며 대기하거나 편안히 쉴 수 있는 로비 라운지로 새롭게 정리했습니다.



단 위의 공간은 신발을 벗고 편히 앉아 잠시 공부에서 벗어나 쉴 수 있는 곳으로,
식물을 배치하여 주변 시선을 부드럽게 차단하고 온전히 휴식에만 집중할 수 있는 아늑한 분위기를 연출했습니다.
또한 우물천장과 간접조명을 적용해 단 차이로 인한 답답함을 줄이고, 보다 편안한 공간감을 느낄 수 있도록 설계했습니다.



집중이 필요한 학생들을 위해 집중과 몰입을 할 수 있는 학습 공간을 마련하고,
소규모로 의견을 나눌 수 있는 미팅 공간도 함께 조성해 도서관을 더욱 다채롭게 활용할 수 있도록 했습니다.


SNU Dental Library, 2024
서울대 치의학과 도서관
Work : Layout, Design
Location : Seoul Jongno-gu
Usage : Library
Area : 415m²
서울대 치의학도서관은 방대한 양의 치의학 관련 전문 서적과 자료를 보유하고 있지만,
오래된 시설과 다소 차갑고 무거운 분위기 때문에 열람실 외의 공간은 학생들의 활용도가 낮았습니다.
이번 프로젝트는 다양한 사람들의 이용도를 높이기 위해 도서관을 단순히 ‘자료를 찾는 곳’이 아닌, 머물고 싶은 공간으로 만드는 데 초점을 두고 진행했습니다.

기본 설계 당시, 넓게 펼쳐진 공간의 흐름을 해치지 않으면서 효율적으로 분리할 수 있는 방법을 스터디하다가,
도서관 중앙에 단 차이를 두고 미팅룸을 배치하여, 자연스럽게 공간과 동선을 분리하고 각 공간마다 서로 다른 분위기를 느낄 수 있게 하면 좋겠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또, 기존 사무실이나 서버실 같은 기능적인 공간은 축소하고, 방문객을 위한 공간들을 확대하는 방향으로 진행했습니다.

사람들의 다양한 활동과 행위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가구 및 소품을 자유롭게 배치하여,
한 공간 안에서 학습, 강연, 토론, 휴식 등의 장면이 연출될 수 있도록 설계하고자 했습니다.



보다 친근하게 다가올 수 있도록 도서관의 전체적인 분위기는 따뜻한 소재와 밝은 우드 톤의 인테리어를 적용하였고,
단순히 통행을 위한 공간에 가까웠던 기존의 로비를, 잠시 머물며 대기하거나 편안히 쉴 수 있는 로비 라운지로 새롭게 정리했습니다.



단 위의 공간은 신발을 벗고 편히 앉아 잠시 공부에서 벗어나 쉴 수 있는 곳으로,
식물을 배치하여 주변 시선을 부드럽게 차단하고 온전히 휴식에만 집중할 수 있는 아늑한 분위기를 연출했습니다.
또한 우물천장과 간접조명을 적용해 단 차이로 인한 답답함을 줄이고, 보다 편안한 공간감을 느낄 수 있도록 설계했습니다.



집중이 필요한 학생들을 위해 집중과 몰입을 할 수 있는 학습 공간을 마련하고,
소규모로 의견을 나눌 수 있는 미팅 공간도 함께 조성해 도서관을 더욱 다채롭게 활용할 수 있도록 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