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2025










2024















2023









2022







2021









2020






2019



2018





Library

Aesthetic

Cafe

Aesthetic

Cafe

House

Cafe

Memorial

Aesthetic

Restaurant / Retail

Cafe

Aesthetic

Cafe

Library

Public

Aesthetic

Cafe

Cafe / Restaurant

Cafe / Restaurant

Cafe

House

Cafe

Library

Public

Cafe / Restaurant

Cafe

Aesthetic

Cafe / Retail / Restaurant

Cafe / Retail / Restaurant

Cafe / Retail / Restaurant

Library

Library

Office

Public

Cafe

Cafe

Aesthetic

House

Aesthetic

Cafe

Cafe

Cafe, Pub

Cafe

Cafe

Office

Cafe

Aesthetic

Cafe

Office

Educational

Restaurant

Cafe

Educational

Cafe

Cafe

Cafe

Office

Cafe

Cafe

Cafe

Cafe

Restaurant

Educational

Pub

DMU Rooftop Connection Space, 2024

동양미래대학교 6호관 옥상 연결공간

Work : Layout, Interior

Location : Gocheok-dong

Usage : Public

Area : 5.7m²

기존 옥상 연결공간은 청록색 캐노피와 연두색 철망으로 구성되어 있었으며, 건물 내부에는 동아리실 등 학생들이 주로 사용하는 시설이 위치해 있습니다.

학생들이 엘리베이터를 이용하려면 야외 연결공간을 지나야 했는데, 짧은 거리임에도 불구하고 우천시에는 천장 구조물이 없어 이동이 불편했고, 옥상에 배치된 실외기와 피뢰침이 그대로 노출되어 있어 미관상의 개선이 함께 필요했습니다.

우측 파티션은 동양미래대학교 메인로고(DMU)의 형상을 차용하여 디자인하였으며, 통풍을 위해 메탈 라스를 활용하고, 시선 차단을 위해 플랜트 박스를 배치하였습니다.

반면, 좌측 파티션은 구조물이 우측보다 통로에 더 가까이 배치되어 있어 확실한 시선 차단을 위해 폴리카보네이트 소재를 사용하였습니다. 플랜트 박스는 우측과는 달리 조경이 은은하게 비칠 수 있도록 디자인하였습니다.

천장 구조같은 경우 기능적, 미적 요소 두가지를 모두 중요하게 생각해야하는 부분이었습니다.

맑은 날에는 직사광이 통로로 직접 들어오지 않도록 천장에 패브릭을 설치하였고, 우천 시에는 빗물이 통로로 유입되지 않도록 통로 폭보다 지붕 폭을 넓게 설계했습니다. 또한 패브릭 손상을 막기 위해 파티션 상부를 차단하여 손상·오염·물떨어짐을 방지했습니다

DMU Rooftop Connection Space, 2024

동양미래대학교 6호관 옥상 연결공간

Work : Layout, Interior

Location : Gocheok-dong

Usage : Public

Area : 5.7m²

기존 옥상 연결공간은 청록색 캐노피와 연두색 철망으로 구성되어 있었으며, 건물 내부에는 동아리실 등 학생들이 주로 사용하는 시설이 위치해 있습니다.

학생들이 엘리베이터를 이용하려면 야외 연결공간을 지나야 했는데, 짧은 거리임에도 불구하고 우천시에는 천장 구조물이 없어 이동이 불편했고, 옥상에 배치된 실외기와 피뢰침이 그대로 노출되어 있어 미관상의 개선이 함께 필요했습니다.

우측 파티션은 동양미래대학교 메인로고(DMU)의 형상을 차용하여 디자인하였으며, 통풍을 위해 메탈 라스를 활용하고, 시선 차단을 위해 플랜트 박스를 배치하였습니다.

반면, 좌측 파티션은 구조물이 우측보다 통로에 더 가까이 배치되어 있어 확실한 시선 차단을 위해 폴리카보네이트 소재를 사용하였습니다. 플랜트 박스는 우측과는 달리 조경이 은은하게 비칠 수 있도록 디자인하였습니다.

천장 구조같은 경우 기능적, 미적 요소 두가지를 모두 중요하게 생각해야하는 부분이었습니다.

맑은 날에는 직사광이 통로로 직접 들어오지 않도록 천장에 패브릭을 설치하였고, 우천 시에는 빗물이 통로로 유입되지 않도록 통로 폭보다 지붕 폭을 넓게 설계했습니다. 또한 패브릭 손상을 막기 위해 파티션 상부를 차단하여 손상·오염·물떨어짐을 방지했습니다